프로젝트/React

리액트 기초(하나하나 따라해보기) 1편

쿠키담임선생님 2022. 9. 20. 21:53

리액트 사용하는 이유


부드러운 html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물론 생 자바 스크립트로도 구현이 가능하지만 그렇게 하면 너무 코드가 길어진다.
뷰같은 다른 방법들도 있지만 가장 대중적인것이 리액트이다.
리액트는 같은 문법으로 리액트 네이티브 라는 모바일 어플도 만들 수 있다.

개발환경 세팅


https://nodejs.org/ko/
해당 웹사이트에 접속 후

여기서 16.17.0 버전을 다운로드 해준다.

 

이후 vs코드라는 에디터도 사용하기 때문에

https://code.visualstudio.com/

여기에 접속 후 다운로드를 해준다.

 

Visual Studio Code - Code Editing. Redefined

Visual Studio Code is a code editor redefined and optimized for building and debugging modern web and cloud applications.  Visual Studio Code is free and available on your favorite platform - Linux, macOS, and Windows.

code.visualstudio.com

 

 

이제 다운받은 후 설치.

 

이후 원하는 폴더에 작업용 폴더를 만들어 준다.

 

나는 바탕화면에 

이러한 폴더를 만들어서 작업할 예정이다. 이제 해당 폴더를 shift+우클릭을 한다.

 

여기에 PowerShell 창 열기 라는 메뉴가 있는데 이것을 클릭한다. 맥을 사용하는 경우 폴더에서 새로운 터미널 열기 를 클릭한다.

 

이제 터미널 창에 npx create-react-app 프로젝트이름 을 입력하면 된다.

 

나는 tistory blog 를 사용하고 있으니 npx create-react-app blog 라고 입력을 하겠다.

 

만약 윈도우의 경우 허가되지 않은 스크립트 이러한 오류가 생기면 실행창에서 PowerShell을 관리자모드로 킨다음 

Set-ExecutionPolicy Unrestricted 를 입력후 엔터한다. 이후 선택창이 나오면 모두 예 선택하면 된다.

 

맥북일 경우는 npx create-react-tistory blog 입력할 때 앞에 sudo 를 붙여준다. 즉 sudo npx create-react-tistory blog 라고 입력하면 된다. 이때 패스워드를 입력하라고 하는 창이 나오면 맥 패스워드를 입력해 준다.

 

폴더에 들어가면 내가만든 리액트 프로젝트가 생성이 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제 VScode를 키고 File- Open Folder 로 블로그 폴더를 생성해준다.

 

이제 프로젝트를 불러오면

 

src 폴더 아래 App.js 가 있는데 여기에 코딩을 하면된다. 그리고 프로젝트 미리보기로 띄울 수 있는데.

 

상단의 터미널에서 뉴 터미널을 클릭하고

 

npm start 를 하면 크롬창에 리액트 페이지가 열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App.js 로가서

원하는 문구를 추가한뒤 컨트롤+s를 눌러 코드를 저장해주면

 

이렇게 원하는 문구를 띄울 수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