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 이동은 TASDH TASDI 로 이루어진다.
TASDH 는 헤더부분 TASDI는 아이템으로 말한다.
전략은 적치전략 이후 할당전략을 통해 창고 이동을 한다.
GB = Good Receipt 라고 하고
입고를 말한다.
또한 재고는 입고를 통해 만들어진다.
재고이동은 RCV Area에 있고 이동은 입고를 하고난 후 수행된다. 다른 Location으로 이동하는 특별한 경우를 적치라고 부른다. (Putaway) 라고 한다. 입고를 바로 이동하는 경우와 적치에 의한 이동이 있다.
적치/이동 시 상품별 Zone이 존재. 마스터에 의해 이동이된다. 예약은 전략에 의해 RCV Location 에서 A010101~Z999999로 알려주는 것이다.
To Location에 따라 작업자는 물건을 이동시켜준다.
할당과 할당취소의 정보는 WHTRH 에만 남아있고 TASDI TASDH 에는 남아있지 않다.
재고 조회 후 재고 조회 기준에 따라 선택해서 TASDI, TASDH, TASDR 에 입력하면 트리거가 알아서 이동시켜준다.
AIRWMS.SZP_INS_TASDR(v_tasdi.taskky, v_tasdi.taskit, c_stkky.stokky, 0, v_qtsiwh )
트리거는 이 이름을 통해 트리거가 진행된다.
사실 트리거가 없으면 재고 이동이나 재고 조정이나 재고 실사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TASHR 개념이 있다.
트리거는 TASDR의 STOKKY를 보고 물건을 옮겨주는 작업을 한다.
SZP_INS_TASDR 프로시저를 호출하면 TASDR을 만들어준다.
$ 넣어주면 TASKKY, TASKIT의 수량을 가져와서 더해서 넣어준다.
'물류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wms 화면 나오는 원리 (0) | 2022.11.30 |
---|---|
회사 공유 폴더 들어가는법 (0) | 2022.11.30 |
프로시저 어떻게 호출하는지 찾아보기 (0) | 2022.11.30 |
이지젠 사용법 1편(비밀번호 : 내 뒷번호) (0) | 2022.09.22 |
TMS 에 대한 설명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