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젠이란 물류 작업같은 많은 물건들이 패킹되어 움직이는 비즈니스에서 필요한 서류를 작성해주는 실행 파일이다.
이지젠으로 파일을 작성하면 .ezg 확장자로 파일이 생성되고 이 파일은 물건에 대한 입고나 출고되는 정보를 담고 있다.
이지젠을 통해 이러한 문서를 사람이 수기로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쿼리로 작성 후 자바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해 html에 자동으로 그려준다.
그렇게 가져온 데이터는 JSP 파일을 통해 예쁘게 꾸며진 뒤 이렇게 불러와진다.
그리고 이 사진에서 입고리스트를 클릭한다면 이러한 화면을 볼 수 있다.
이지젠 실행
이지젠 을 설치하고 유니코드 이지젠 편집기를 실행한다.
편집기를 실행 했다면 앞으로 5분마다 컨트롤에스를 눌러서 저장해주자.
선임분들의 말을 들어보니 저장을 해도 파일이 증발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한프로젝트 중에 한번은 꼭 사라진다고 하니 항상 저장하는 습관을 길러야 겠다고 생각이 들었다.
아래 화면은 이지젠을 처음 실행하면 보여지는 화면이다.
파일 불러오기
왼쪽 상단
여기서 파일 불러오는거같은 아이콘을 클릭한다.
그리고 열고싶은 파일 클릭!!!!
나는 2번파일을 열 예정이다.
클릭하면 이상한 오류창들이나 무슨 확인 메세지들이 많이 노출될텐데 이러한 메세지들 그냥 확인누르고 무시하고 지나가면 된다.
그러면 이러한 화면을 볼 수 있다.
이 화면에서 WMSCLD 나 WMSMNF 는 어떻게 만들었는지 본인은 잘 기억이 나지 않는다...
선임분이 하시는거 따라가느라 바빠서 머리속에서 지워져버렸다. 나중에 생각나면 추가할 예정.
어쨋든 저 파일을 열기 위해서는 WMSMNF 라는 데이터와 연동을 해야하기 때문에
WMSMNF를 클릭해서 블록이 생기게 만들고 확인버튼을 눌러준다.
그러면 응답없다는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모든 컴퓨터에서 발생하는 오류이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그냥 기다리다 보면 다음단계로 넘어가진다. 약 1분 길어도 2분 안에는 다시 정상작동하니까 기다려보자.
그 뒤 이러한 창이 뜨는데 패스워드로 WMSMNF215를 입력한다.
그리고 오케이를 누른다.
그러면 또 알림메시지가 많이 뜨고 무슨 폴더 찾기 이런것도 뜨는데 당황하지 않고 다음을 누른다.
그러면 해당 파일이 열리게 된다.
이러한 빈 파일을 볼 수 있다. 나중에 파견 나가서 막내가 하는 일이 이거 작성하는 일이기 때문에 수정하기 쉽고 가장 변경하기 쉬울만한 템플릿을 가져왔다.
이지젠 파일 작업하기
불러온 파일의 아무 영역들을 클릭하다 보면
이렇게 영역이 들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어떠한 영역을 클릭할 때마다 오른쪽에 항상 띄워져있는 메뉴바가 어떤 영역을 클릭했는지 알려준다.
확대해서 본다면 다음과 같다.
지금 클릭한 영역은 LB_PTCT03 영역이다. 여기에 데이터를 추가하고 싶다면 쿼리문으로 들어가야한다.
나는 다른 영역에 데이터를 추가하고 싶기 때문에 여기를 클릭하겠다.
내가 클릭한 영역은 입고리스트 아래의 왼쪽 영역이고 이곳의 이름은 LB_PTLT01 이다.
여기에 날짜관련 정보를 추가해보겠다.
이제 쿼리문으로 들어가서 데이터를 뽑아와야한다.
쿼리문으로 들어가는 단축키는 컨트롤 큐이다.
쿼리에 이렇게 두가지가 있다. 원하는 스크립트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뽑아올 수 있다. 한 쿼리당 한문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우리가 보통 오라클이나 MYSQL을 작성하면 한 스크립트에서 여러 쿼리문을 작성하고 개별로 실행시키는데 여기는 한 쿼리당 한 스크립트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일단 두 스크립트 중 S_LANG 이라는 스크립트에 들어간다.
해당 스크립트를 F5를 눌러 실행해보면 아래
테이블이 보이고 이를 통해 어떤 데이터가 추출되는지 알 수 있다.
SELECT MAX(CASE WHEN LABLKY ='YHYKEY' THEN LBLTXM END) AS YHY
, '날짜: '||TO_CHAR(SYSDATE,'""YYYY"년 "MM"월 "DD"일"') AS TODAY
, '작성자: '||SUBSTR(MAX(CASE WHEN LABLKY ='YHYKEY' THEN LBLTXM END),1,3) AS WRITER
, MAX(CASE WHEN LABLKY ='WAREKY' THEN LBLTXM END) AS WAREKY
, MAX(CASE WHEN LABLKY ='LOCAKY' THEN LBLTXM END) AS LOCAKY
, MAX(CASE WHEN LABLKY ='LOCATY' THEN LBLTXM END) AS LOCATY
, MAX(CASE WHEN LABLKY ='SHORTX' THEN LBLTXM END) AS SHORTX
, MAX(CASE WHEN LABLKY ='TASKTY' THEN LBLTXM END) AS TASKTY
, MAX(CASE WHEN LABLKY ='ZONEKY' THEN LBLTXM END) AS ZONEKY
, MAX(CASE WHEN LABLKY ='AREAKY' THEN LBLTXM END) AS AREAKY
FROM JLBLM
WHERE LABLGR IN ('EZG')
AND LANGKY = [:i_language]
위 스크립트를 이걸로 갈아 끼워주고 F5를 눌러 실행시키면
이러한 데이터를 뽑아올 수 있다.
이제 여기서 칼럼명을 뽑아서 출력해보겠다.
다시
여기로 나와서.
이제 컨트롤 쉬프트 J 를 누른다.
그러면 스크립트 파일이 나온다.
여기서 아래로 내려서 78번째 줄의 page.SetValue 부분을 보면
LB_PTLT01 에 쿼리 데이터를 넣는다고 명시가 되어있다.
여기서 쿼리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져올지 명시해 주면 된다.
그래서 오른쪽에 칼럼명을 넣어주면 된다. 나는 TODAY라는 칼럼을 넣고싶으니
TODAY로 넣겠다.
바꿔주고 꼭 저장을 하고 나오자.
그리고 문서에서도 저장을 누른 뒤
F5를 누르면
이런식으로 원하는 칼럼을 넣은 뒤 이제 아래 표는 자동으로 추가되는기능을 넣어보자.
이번에는 컨트롤 + 큐를 눌러서 SQL 쿼리 작성 페이지를 연 뒤
SELECT ROWNUM as rnum
, WAREKY
, LOCAKY
, LOCATY
, SHORTX
, TASKTY
, ZONEKY
, AREAKY
FROM LOCMA
WHERE WAREKY = 'WH01'
AND AREAKY = 'AR01'
이러한 코드를 추가해준다.
그 뒤 F5를 눌러 실행하고 저장까지 해준다.
보이는 칼럼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데이터를 추출해서 출력하기 위해 다시 창을 닫고 본문으로 나온다.
그 뒤 컨트롤 + R을 눌러 가져올 쿼리와 연동을 시켜준다.
그러면 이러한 창을 볼 수 있는데
넣고 싶은 셀에 포인터를 갓다댄 뒤 이 창에 있는 변수중 넣고싶은 것을 더블클릭하면 들어간다.
이후 저장하고 F5를 누르면 다음과 같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류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wms 화면 나오는 원리 (0) | 2022.11.30 |
---|---|
회사 공유 폴더 들어가는법 (0) | 2022.11.30 |
프로시저 어떻게 호출하는지 찾아보기 (0) | 2022.11.30 |
재고 이동 시 테이블 구조 및 프로세스 (0) | 2022.10.28 |
TMS 에 대한 설명 (0) | 2022.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