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전 글을 통해 도커 허브에 이미지 Push 까지 진행하면서 도커 허브에 1.0.3 버전으로 올라간 것을 확인 했을 것이다.
이제 내 서버 환경에서 해당 이미지를 Pull 받은 이후 실행만 시키면 끝난다.
위처럼 도커 허브에서 이미지를 확인 할 수 있고, 해당 이름을 기반으로 아래 명령어를 서버에서 입력한다.
docker pull yunhy96/dday:1.0.3
이렇게 하고 만약 권한으로 거부당하면 앞에 sudo를 붙여주자.
위 명령어를 입력하고 이미지가 잘 들어왔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이렇게 sudo docker images를 입력 한 이후 현재 생성되있는 이미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나는 1.0.3 버전이 잘 들어왔다.
이제 실행만 하면된다.
아래 명령어를 사용하면 되는데 호스트포트는 8080, 컨테이너 포트는 8080 임으로
sudo docker run -p 8080:8080 yunhy96/dday:1.0.3
이렇게 설정해준다.
잘 실행 된 것같다.
aws에서 퍼블릭 ip4 주소를 받아와서
포스트맨으로 api 쐇더니 잘 동작한다.
하지만
sudo docker run -p 8080:8080 yunhy96/dday:1.0.3 - 이게 우리가 실행한 명령어
sudo docker run -d --name dday-app -p 8080:8080 yunhy96/dday:1.0.3 --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기 위해 실행해야 하는 명령어
위 명령어 중 dday-app은 내가 임의대로 만든것이라 각자 원하는 명칭으로 바꿀 수 있다.
그리고 이 이름을 통해 서버를 종료 시킬 수 있다.
위처럼 실행하면 터미널에서 다른 작업을 위해 나가면 아에 서버가 꺼져버린다. 그래서 백그라운드에서 돌게끔 설정해주어야 한다.
이렇게 문자열이 나오는데 이건 정상 작동했다는 뜻이다.
그 뒤 백그라운드의 이미지를 끄기 위해서는
docker stop dday-app 을 입력하면 된다.
'프로젝트 > 서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sm 서버에 로컬 환경에서 데이터 베이스 연동(mac) (0) | 2024.12.23 |
---|---|
ec2에서 이미지 pull 시 깃허브액션을 활용하여 자동화 하기. (0) | 2024.11.02 |
도커 파일로 이미지 생성해서 도커에 올리기 (0) | 2024.10.31 |
우분투 서버 용량 확장 방법, ERROR: mkdir /home/ubuntu/.docker: no space left on device (0) | 2024.10.31 |
기존 프로젝트 다시 되살려내기 (0) | 2024.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