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를 다루다보면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일이니 위에서부터 차근차근 따라하면 된다.
우분투 서버에서 올린 코드로 도커이미지로 말기 위해 명령어를 도커 빌드 명령어를 이렇게 입력했다.
docker build --platform amd64 --build-arg DEPENDENCY=build/dependency --tag yunhy96/dday:1.0.1 .
그런데 이렇게 하니까
ERROR: mkdir /home/ubuntu/.docker: no space left on device
해당 오류가 발생했다.
위 오류는 우분투 자체 용량이 부족해서 나오는 에러다.
그래서 df -h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용량을 체크해보았다.
서버에 도커도 설치하고, jdk도 설치하고, 젠킨스도 설치하고 , 도커 이미지도 올렸더니 용량이 꽉 찬것 같다.
그래서 서버 용량을 올려야한다.
용량을 올리기 위해서 aws에 접속한다.
여기 왼쪽 카테고리의 볼륨을 클릭하면 오른쪽 처럼 나오는데
오른쪽에나온 볼륨 id에 마우스 커서를 가져다 댄 이후 오른쪽 마우스 클릭하면 볼륨 수정이 있다.
나는 30기가로 설정하였다.
이렇게 볼륨을 수정중이라는 메세지가 나온다...
기다렸다가 진행 된 이후
sudo lsblk라는 명령어를 통해 차지하는 용량을 확인해보았다. 30기가로 늘어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이후 xvda1이라는 파티션의 용량을 증가시켜주어야한다.
sudo growpart /dev/xvda 1 이라는 명령어를 통해 xvda의 하위 첫번째의 용량을 증가시킨다.
그 뒤 다시 용량 확인 명령어 lsblk를 통해 용량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확인한다.
용량이 잘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 다 끝난 것은 아니다. 파티션의 용량만 늘린 것이고 아직 파일 시스템의 용량은 늘리지 않은 상태이기에
df -hT를 통해 확장해야하는 파일 시스템을 가져온다.
중간으로 정리하자면 서버의 용량을 늘리는 것은 2계의 단계로 이루어진다.
1. 볼륨크기 확장
2. 파일시스템 크기 조정
이제 파일 시스템 크기 조정하는 명령문은
sudo resize2fs /dev/root
이후 용량을 확인해보자.
용량을 확인하니 /dev/root 의 사이즈가 29G로 늘어나고 가용 가능한 공간도 23G로 늘어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프로젝트 > 서버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 허브에서 도커 이미지 pull 받은 이후 우분투 서버에서 실행시키기 (0) | 2024.11.01 |
---|---|
도커 파일로 이미지 생성해서 도커에 올리기 (0) | 2024.10.31 |
기존 프로젝트 다시 되살려내기 (0) | 2024.05.10 |
ubuntu에 도커와 젠킨스로 ci cd 구축하기(3편) + ec2서버 스왑메모리 추가 + ec2 서버가 자꾸 죽을 때 해결 방법 (0) | 2024.01.14 |
ubuntu에 도커와 젠킨스로 ci cd 구축하기(2편) (0) | 2024.01.08 |